대치동심리상담센터 질투심이 많은 아이
대치동심리상담센터 질투심이 많은 아이
안녕하세요. 대치동심리상담센터 허그맘허그인 강남본점입니다.
많은 아이들은 자기 마음대로 어떤게 해결되지 않으면
짜증을 내기도 하고 화를 내기도하며 서렵게 울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가위바위보를 했는데
자신이 졌을 때 화를 내다가 우는 경우,
아마 많은 부모님들이 종종 보셨던 상황일 것 같습니다.
기질적으로 자존심이 강하고 고집이 센 아이인가 생각하고
넘길 수 있지만 양육을 하다보면 점점 더 세지는
아이의 고집과 질투 때문에 어려움을 겪으시는 육아맘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대치동심리상담센터 허그마허그인과
이런 아이들을 어떻게 양육하면 좋을지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1. 좌절을 경험하는 순간에 극복할 수 있는 힘을 키워줘야 합니다.
좌절해본 경험이 많이 없다면 극복할 수 있는
힘이 없어 감당해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이가 겪을 좌절을 사전에 부모님이 대신 처리해주는 것이 아니라
작은 좌절 경험부터 겪는 훈련이 되도록 도와주세요.
좌절감은 사소한 것에서부터 느낄 수 있는
감정이기 때문에 다양한 것들을 시도하기 시작할 때
더 많이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이 쌓인다면 나중에 만나게 될 큰 좌절에도
잠시 고통스럽지만 다시 일어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다른 친구들을 이겨서 1등을 차지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는 걸 알려줘야 합니다.
인간은 성장욕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금보다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해 계속해서 열심히 살고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위치를 파악하기도 합니다.
경쟁심은 성장을 위한 동기부여가 된다는 것에서는 긍정적이지만
과하게 높을 경우 과정보다 결과를 중요시하게 됩니다.
그러면 남보다 내가 더 중요해져서 다른 사람을 배려하지 않는
이기적인 행동을 보이게 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겨서 1등하는 것보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것이 더 중요하고 그러한 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국 아이는 성장해서 사회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야하기 때문이죠.
대치동심리상담센터 허그맘허그인과 알아볼 마지막,
3. 아이가 흥분하고 감정이 격해졌을 때
부모님이 감정적으로 흔들리지 말아야합니다.
아이가 흥분을 했을 때 엄마가 혼을내거나 화를 내면
아이는 자신의 상태를 가라앉힐 수 없을 뿐 더러
감정 조절하는 방법을 습득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 양육자는 아이가 진정할 때 까지 기다려줘야 합니다.
아이의 눈 앞에서 기다려주거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도록
환경이나 친구와 분리시켜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자녀가 진정이 됐을 때 경험한 좌절과 분노의 감정을
공감해주고 아이가 생각한대로 모든 일이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나중에 화가 났을 때 아동이 할 수 있는 것과
하지 말아야 할 행동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 자신이 원하는 것을 엄마가 해주지 않아
짜증을 내고 떼를 쓸 때도 동일하게 흥분을 가라앉혀주고
아이의 마음과 감정을 공감해준 뒤 이야기해야 합니다.
이렇게 설명한다고 해서 자녀가 바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인지하고 기다림과
인내로 아이에게 반복적으로 설명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렇게 대치동심리상담센터 허그맘허그인과
질투가 많고 고집이 세고 자존심이 강한 아이를
어떻게 양육할 수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엄마의 힘으로 통제가 되지 않는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아이의 마음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대치동심리상담센터 허그맘허그인은
2월동안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